전체 글204 바나나를 씻어서 먹어야 하는 이유 요즈음은 세상이 좋아서 외국에서 생산되는 과일도 얼마든지 쉽게 구입하고 먹을 수 있습니다. 바나나도 그중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바나나는 껍질을 벗겨내고 먹지만 껍질을 반드시 물로 씻어서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출처 : 헬스조선). 왜냐하면 대부분의 수입 바나나는 키우는 과정뿐만 아니라 운송 과정에서도 농약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1. 바나나에 묻어있는 잔류 농약 수입 바나나는 대부분 재배 과정 중 농약이 사용됩니다. 수입 바나나는 하우스가 아닌 노지에서 재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2022년 국제환경연구저널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콜롬비아 등 바나나 수출 농장에서는 클로르리피포스 등의 살충제가 묻어있는 비닐봉지를 바나나 다발에 씌워 바나나를 곤충으로.. 2023. 2. 27. 아름다운 가곡 목련화 (오 그대 내 사랑 목련화야) 오늘은 2023년 2월 24일입니다. 때는 바야흐로 꽃피는 봄으로 성큼성큼 다가가고 있습니다. 코로나는 어느 정도 물러갔지만, 경제상황은 아직 호전될 기미가 보이지를 않습니다. 그러나 세월은 물흐르듯이 흐르고 계절은 때에 맞추어 겨울에서 봄으로 바뀔 준비를 하는 것 같습니다. 봄이면 화사하게 꽃을 피우는 목련나무가 있죠. 목련은 잎이 돋아나기 전 꽃이 먼저 피는 것이 특징입니다. 목련꽃을 보노라면 순수하고 아름답고 우아하며 포근한 느낌을 받을 수 있죠. 이러한 목련꽃을 아름다운 가곡으로 묘사한 것이 있습니다. 가곡 목련화입니다. 1. 가곡 목련화는 경희대학교 개교 25주년을 기념하여 만든 작품입니다. 경희대학교 교화가 목련입니다. 가곡 목련화는 경희대학교 설립자인 조영식 박사가 쓴 시 '4반세기 칸타타'.. 2023. 2. 24. 설탕과 건강과의 관계 그리고 권장 섭취량 누구나 인생의 욕구 중의 하나는 식욕입니다.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은 크나큰 즐거움이죠. 그래서 최근에는 식도락 여행까지 생겨났습니다. 그래서 식당에서는 고객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서 갖은양념을 다하고 있죠. 그 결과 음식에는 조미료가 많이 첨가됩니다. 설탕도 소금처럼 많이 먹어서는 건강에 좋을 것이 없는 조미료입니다. 설탕이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비만인데, 비만은 건강 측면에서는 만병의 근원이죠.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지방간 같은 대사질환은 물론 심장병, 뇌졸중, 암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설탕의 과다 섭취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당의 종류와 권장량, 당 섭취를 줄이는 정책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출처 : 헬스조선). 1. 설탕 섭취 증가 추세 .. 2023. 2. 13.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팩 사용 시 유의사항 사람은 태어나서 세월이 흐르면 늙게 되어 있습니다. 마음은 항상 젊은데 몸이 늙어가는 것이 안타깝죠. 때로는 나의 늙은 모습을 남에게 보여주기가 싫은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누구나 나이가 들어갈수록 얼굴에 신경을 많이 쓰고 피부 관리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됩니다. 요즈음은 여자들 뿐만 아니라 남자들도 피부 관리를 위해서 마스크팩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부지런한 사람들은 1일 1팩을 하기도 하죠. 그런데 마스크팩을 꾸준히 하면 촉촉한 피부를 가꾸는데 도움이 되지만, 너무 자주 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1일 1팩이 피부 관리에 무조건 좋은 것인지, 마스크팩 사용의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봅니다(참고: 헬스조선) 1. 마스크팩의 특징 마스크팩은 밀착력과 흡수력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2023. 2. 1. 아름다운 가곡 보리밭 (보리밭 사잇 길로 걸어가면) 겨울은 삭막하고 황량한 계절이죠. 지난여름 푸르렀던 나뭇잎이나 풀들은 구경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옛날 1980년대 초까지는 겨울에도 시골 들판에는 푸른 새싹들이 많았습니다. 그것은 바로 보리밭이었습니다. 지금은 쌀이 남아돌지만 그 당시만 해도 쌀이 모자라서 보리가 주식의 일부분을 차지했죠. 그래서 보리를 많이 재배했습니다. 보리를 수확하고 나서는 논을 갈아엎어서 벼를 심었습니다. 저는 시골에서 초 ·중학교를 다니던 시절에는 할아버지와 함께 낫으로 보리를 많이 베었고, 모내기도 많이 거들었습니다. 지금 보리밭을 떠올리면 엄청 멋있게 느껴지지만, 그 당시에 보리밭은 노동현장의 일부로만 생각되었죠. 보리는 10월경 파종하여 그다음 해 5~6월 경 수확하는데 겨울에도 파릇파릇 새싹이 자라납니다. 겨울에 얼었던.. 2023. 1. 3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