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른말은 무엇일까요?
○ 행운의 여신이 (무심지, 무심치) 않았는지 막판에 우리 편이 역전승했다.
○ 코로나 집합 금지 단속을 피해 영업하면서 바가지 장사도 (서슴지, 서슴치) 않은 업소들이 경찰 단속에 결렸다.
2. 무심치
'무심치'는 '무심하다'가 기본형입니다. '무심하다'는 '아무런 생각이나 감정 따위가 없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그는 무심한 표정으로 창밖만 바라보았다'와 같이 씁니다.
또 '남의 일에 걱정하거나 관심을 두지 않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아픈 사람을 두고 어찌 그리 무심할 수 있니?'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무심치'는 '무심하다'가 '-지'가 합하면서 '무심하-'의 'ㅏ'가 탈락하고 'ㅎ'이 '-지'와 만나 '치'가 된 겁니다.
'무심치'처럼 기본형에 '하'가 있는 '당하다' '허송하다' '만만하다' '편하다' 등이 '-지'와 만나면 '당치' '허송치' '만만치' '편치'로 씁니다.
3. 서슴지
'서슴지'는 기본형인 '서슴다'와 '-지'가 만난 단어입니다. 기본형에 '하'가 없기 때문에 '-치'로 변하지 않은 것입니다.
'서슴다'는 흔히 '서슴지'꼴로 '않다' '말다' 따위의 부정어와 함께 쓰여 '어떤 행동을 선뜻 결정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며 망설이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 사람은 귀찮은 일에 나서기를 서슴지 않는다' '묻는 말에 서슴지 말고 대답해라'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원래 '하'가 없는 말인데 '하'를 덧붙여 잘못 쓰는 단어도 있어요. '삼가다'인데요. '삼가하다'는 잘못된 표현이니 주의해야 합니다.
<예 시>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고통에 무심치 않은 자세가 필요하다.
○ 하늘이 무심치 않았는지 뒤집힌 어선에서 그는 40시간 만에 극적으로 구조되었다.
○ 유혈 진압을 서슴지 않는 미얀마 군부에 대해 전 세계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 빚을 내 무리한 주식 투자를 서슴지 않는 개인 투자자가 늘어나 금융 당국이 우려하고 있다.
○ 거짓말과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행위를 서슴지 않는 유튜버를 단속해야 한다.
[조선일보, 2021.3.17]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고운말 바로 쓰기(달리다, 달린, 딸리다, 딸린) (0) | 2021.05.02 |
---|---|
고속도로 휴게소에 전기차 초급속 충전기 설치 (0) | 2021.04.14 |
우리말 고운말 바로 쓰기(든지, 던지) (0) | 2021.03.03 |
언택트, 코호트 격리 등 코로나 용어를 우리말로 대체 필요 (0) | 2021.02.17 |
토지이음서비스로 토지이용계획, 도시계획 통합 열람 가능 (0) | 2021.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