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바른말은 무엇일까요?
○ 과거에는 소금이나 후추로 화폐를 (가름, 갈음)해 사용했다.
○ 차림새만 봐서는 여자인지 남자인지 (갈음, 가름)이 되지 않는다.
2. 갈음
'갈음'은 '갈다'의 어간 '가르-'에 '-음'이 붙은 형태로 '어떤 것을 다른 무엇으로 바꾸어 대신함'이란 뜻입니다. 비슷한 말은 '대신'입니다.
예를 들면 '저에 대한 소개는 피아노 연주로 갈음하겠습니다'와 같이 쓸 수 있죠. '갈음'은 또 '일한 뒤나 외출할 때 갈아입는 옷'이라는 뜻도 있는데, '갈음옷'과 같은 말로 씁니다.
3. 가름
'가름'은 '가르다'의 어간 '가르-'에 '-ㅁ'이 붙은 형태로 '쪼개거나 나누어 따로따로 되게 하는 일'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예전에는 의복에서도 신분에 따른 가름이 있었다'와 같이 써요.
또 '사물이나 상황을 구별하거나 분별하는 일'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계속 동점이 나오니 승패 가름은 가위바위보로 하자'와 같이 쓸 수 있어요.
<예문>
○ 공수처법 개정안은 교섭단체가 위원을 추천하지 않으면 국회의장이 추천을 갈음할 구 있도록 되어 있다.
○ 신축 아파트에 하자가 있어 입주민들이 건설 회사에 하자보수에 갈음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 지원자를 능력보다 학력에 따라 가름해 차별적으로 대하는 일은 없어져야 한다.
[조선일보, 2020.11.25]
반응형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전역 주요도로 제한속도 시속 50km이하로 하향 조정 (1) | 2020.12.22 |
---|---|
수도권 5인 이상 사적 모임 집합 금지 행정명령 핵심 정리 (0) | 2020.12.22 |
우리 말 고운 말 바로 쓰기(덤터기, 덤테기, 덤탱이) (0) | 2020.11.19 |
우리 말 고운 말 바로 쓰기(애송이, 애숭이) (0) | 2020.11.11 |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 방지대책(수험생 유의사항) (2) | 2020.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