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무더운 여름철 에어컨 켤 때 실내 환기의 필요성

by 복사꽃 세상 2023. 8. 9.
반응형

무더운 여름철에는 대부분 에어컨 사용을 많이 합니다.

 

온종일 문을 닫아두고 에어컨을 켜두는 경우가 많죠.

 

창문을 열어두면 냉기가 빠져나가고 고온다습한 공기가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출처 :  pixabay

그러나 실내 환기를 하지 않을 경우, 여름철 실내는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각종 화학 물질로 가득 차게 됩니다. 

 

따라서 여름철 실내 환기의 필요성과 환기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출처 : 헬스조선, 2023.7.31)

1. 실내 환기의 필요성


더운 여름에도 실내 환기는 필수입니다.

 

왜냐하면, 밀폐된 실내는 외부보다도 공기 중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의 농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출처 :  pixabay

2020년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밀폐된 실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PM10)는 ▲이불 털기 250~800㎍/㎥ ▲청소기 이용 200~400㎍/㎥ ▲실내 흡연 1만㎍/㎥ (측정 불가, 추정치) ▲조리 2530㎍/㎥에 달합니다.

 

이는 미세먼지 농도별 예보 등급에서 매우 나쁨이 151㎍/㎥ 이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실내 환기가 충분하지 않으면 실내 공기는 외부 공기에 비해 오염도가 100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환경보호청에 따르면 오염 물질이 에 전달될 확률은 약 1000배 이상 커진다고 합니다.

출처 :  pixabay

고려대 연구팀에 따르면 특히 여름철은 미생물 번식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가 형성되기 때문에 총 부유세균의 수가 유독 높아진다고 합니다.

 

총 부유세균은 공기 중 부유하는 대장균, 일반 세균, 진균을 말합니다.

 

실제로 거의 모든 가정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호흡기 감염자의 바이러스는 밀폐된 실내에서 공기 전파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2. 실내 환기 방법


집 안에서 에어컨을 가동하고 있다면 최소 2시간마다 1회(10분 이상) 환기를 해야 합니다.

 

다만, 사람이 많고, 창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잦은 환기가 필요합니다.

출처 :  pixabay

에어컨의 풍향은 사람이 없는 방향(천장 또는 벽)으로 고정하고, 풍량은 가능한 약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만약 환기로 인해 실내 습도가 높아졌다면 에어컨의 제습 기능이나 제습기를 활용해 습도를 낮춰주는 게 좋습니다.

문과 창문은 맞통풍이 일어나도록 동시에 여러 개를 열어 놓습니다.

 

또한 대중교통, 공동 이용 승합차에 탔을 때에는 에어컨이 가동되더라도 창문을 지속적으로 조금 열어두는 게 좋습니다.

출처 :  pixabay

 



반응형

댓글